본문 바로가기

Java/Java Spring

SpringBoot 초기 설정하기(Web으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SpringBoot를 처음 사용 할 때 초기 셋팅 하는거를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http://start.spring.io <<-- 요기 들어가 주시면 됩니다

 

해당 사이트는 스프링 관련 프로젝트를 만드는 사이트인데 Spring initializr이라고 검색해 주시면 바로 검색이 되니까 확인해 주시면 됩니다

 

다음 화면 좌측을 보시면 여러가지 설정 값들이 나오는데요

 

1. project 설정

자신이 dependency를 build.grade을 통해서 주입을 받고 싶으면 프로젝트 부분에 grade 관련해서 설정해 주심 되고 pom.xml을 통해서 주입을 받고 싶으면 maven을 선택해주심 됩니다

Java로 시작하시는 분들은 Groovy로 설정해도 무방하다 본인의 자유!!

 

2. 사용할 언어 설정

코틀린과 자바, 그로비가 있습니다 이중에 자신이 원하는 언어를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3. Spring Boot 설정

spring boot도 굉장히 많은 버전을 선택 할 수 있습니다 본인이 사용하는 언어의 버전과 맞는 것을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저는 Java 20을 선택했기 때문에 해당 버전에 맞는 버전을 선택하였습니다

4. Project Metadata 작성

project Metadata는 group, artifact, name, packaging , java만 구성해주면 됩니다

- group 부분으로 가시면 com.example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은 우리가 흔히 아는 홈페이지 주소가 거꾸로 되어 있는 형식입니다

 거꾸로 되어있는 형식에 본인의 프로젝트 파일을 붙이면 본인의 패키지 네임이 되는 것입니다

- artifact와 name은 프로젝트의 이름을 설정하는 공간입니다 실제로도 해당 부분 작성시 동일하게 작성이 되는 것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위에 부분 작성후 package name을 한번더 확인 해 준 후

Group 값과 name 값을 설정해주면 package name 값이 자동으로 바뀐다

- 패키징 방식과 java 버전을 선택해 주면 끝납니다 저는 Jar과 java20을 선택하였습니다

5. 의존성 주입

- 다음으로 저희가 프로젝트에서 사용하게될 의존성을 주입해줍니다 의존성에 내가 원하는 라이브러리를 찾아서 사용하면 훨씬 더 간편한 코딩이 가능합니다 저는 spring boot를 의존성으로 주입할 예정입니다

맨 왼쪽에 Add dependencies... 클릭!!!

상단에서 Spring Web을 검색하고 Spring Web을 클릭하면

이런 식으로 dependencies에 spring web이 잘 들어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다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싶으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가하면 된다)

 

5. Generate 클릭

Generate를 클릭하면 해당 프로젝트가 압축이 되서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다 그러면 해당 프로젝트 파일을 압축을 푼 후에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