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MS/이론

데이터 모델링의 기본

너어디사니 2024. 4. 20. 17:26

데이터 모델링

  • 데이터를 설계와 디자인 및 형상화 하는 작업
  • 현실 세계를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기법이다
  • 데이터 모델링의 특징
    • 추상화 : 현실 세계를 일정한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 아이디어나 개념을 간략하게 표현하는 과정
    • 단순화 : 복잡한 현실 세계를 정해진 표기법으로 단순하고 쉽게 표현하는 것
    • 명확화(Clarity) : 불분명함을 제거하고 명확하게 해석할 수 이도록 기술한다는 의미
  • 데이터 모델링의 3가지 관점
    • 데이터 관점 : 데이터 위주의 모델링, 데이터들이 업무와 얽혀있는지 그리고 그 데이터 간에 어떤 관계에 있는지에 대해서 모델링하는 방법
    • 프로세스 관점 : 프로세스 위주의 모델링, 실제로 처리하고 있는 일은 무엇인지 또는 일을 처리해야 하는 일은 무엇인지를 모델링하는 방법
    •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상관관점 :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관계를 위주로 하는 모델링, 프로세스의 흐름에 따라서 데이터가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모델링 하는 방법
  • 데이터 모델링 시에 유의사항 

  • 모델링의 3가지 관계
    •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전사 (회사 전체 차원의)적 데이타 모델링 수행 시 행해지며 추상화 레벨이 가장 높은 모델링이다 해당 단계에서는 업무 중심적이고 포괄적인 수준의 모델링이 진행된다
    •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 : 재사용성이 가장 높은 모델링으로 데이터베이스 모델에 대한 Key, 속성, 관계 등을 모두 표현하는 단계
    • 물리적 데이터 모델링 : 실제 데이터베이스로 구현할 수 있도록 성능이나 가용성 등의 물리적인 성격을 고려하여 모델을 표현하는 단계
  • 데이터의 독립성
    •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점과 데이터베이스가 실제로 표현되는 물리적인 방식을 분리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데이터만 전달하며 DBA입장에서는 Application 에 영향을 주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변경 할 수 있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 3단계 스카마 구조
    • 외부 스카마
      • 사용자의 관점 : Multiful User’s View 단계로 각 사용자가 보는 데이터베이스의 스카마를 정의한다
    • 개념 스카마
      • 통합된 관점 : Community View of DB 단계로 모든 사용자가 보는 데이터베이스의 스카마를 통합하여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것,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들을 표현하고 데이터들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 내부 스카마
      • 물리적 관점 : Physical Representation 단계로 물리적인 저장 구조를 나타낸다 , 실질적인 데이터의 저장 구조나 컬럼 정의, index등이 포함된다
    • 3단계 스카마가 보장하는 독립성
      •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점과 데이터베이스가 실제로 표현되는 물리적 방식을 분리하여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
        • 논리적 독립성 : 개념 스카마가 변경되어도 외부 스카마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 물리적 독립성 : 내부 스카마가 변경되어도 외부 / 개념 스카마가 영향을 받지 않는다